메타세콰이어 응애

Status

  • 1차 잎을 중심으로 황화현상, 메타세콰이어 및 소나무, 전나무에서 대량 발생
  • 가로경관을 해치고 수목의 정상적 생장을 저해함으로 민원 유발
  • 도로 복사열과 최근 기온상승으로 응애류의 번식기간이 짧아져 대량으로 발생
  1. 번식속도가 빠르므로 흡즙량이 늘어나 급속히 갈변
  2. 흡즙하면 잎은 노랗게 변하며, 잎이 마르고 조기낙엽 현상이 생긴다.


Control
가지에 응애알이 월동하므로 예찰을 통해 잎당 2~3마리가 보일시에 미리 방제를 해야함.

  • 20여 미터 이상의 수목의 높이를 고려하면, 살비제를 통한 방제가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있음
  • 풀잠자리, 무당벌레 등의 천적 활용
  • 응애는 건조한 기후 및 먼지가 있는 지역에 대 발생 하므로 건조기에 수분공급을 충분히 할 필요가 있음. 발생초기에는 강하게 물을 뿌려줘도 밀도를 억제할 수 있음.
  • 화학적 방제방법
  1. 수간주사 : 로멕틴(Abamectin) EC 5ml를 흉고직경 10cm 당 1개씩 나무주사하여 연중방제 한다.
  2. 살비제 살포 : 비페나제이트 수화제, 비페스린 수화제, 싸이헥사틴 수화제 등의 살비제를 3~4회 번갈아 뿌려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