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 피해
1) 5~6월부터 발생하여 장마가 지난 후 8~9월에 병세가 심해진다.
2) 수관 하부에서부터 발생하여 점차 위쪽으로 번진다.
3) 처음에는 작은 자갈색 반점이 생기며 점차 커지면서 1~5mm정도되는 둥근 갈색 반점으로 진전된다.
4) 병반이 떨어져 나가면 구멍이 생기며 여러개의 반점이 뭉치는 경우에는 불규칙한 모양으로 구멍이 뚤린다.
5) 원인 : 수세가 불량하거나 봄철에 바람에 의한 스크레치와 비가 많이 오면 발생한다.
6) 병원균 : Mycosphaerella cerasella
나. 처방
1) 나무주사 : 발생전 테부코나졸 유탁제(Tebuconazole EW) 원액을 흉고직경 10cm당 5ml를 수간주사하여 예방한다.
2) 수간살포 : 꽃이 진 후 tebuconazole, difenoconazole, difenoconazole 등의 성분으로 제조된 살균제를 2간격으로 3~4번 뿐린다. (출처 : http://apps.rhs.org.uk)
3) 비화학적 방제방법 : 병든 낙엽을 모아 태우거나 땅속에 묻는다.
![]() |
![]() |
![]() |
![]() |
유사 병해 정보
Brown spot – Mycosphaerella dearnessii
답글 남기기
댓글을 달기 위해서는 로그인해야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