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수목병해
-
아밀라리아 뿌리썩음병 Armillaria root rot
기주 벚나무, 잣나무, 소나무, 느티나무, 가문비 등 활엽수 및 침엽수 전반 피해 봄에 신엽은 나오지만 지체부의 수관을 막아 서서히 말라 죽음. 표징 수피에 흰색 균사층. 감염된 뿌리에서 근상균사. 8월 하순 즈음 뽕나무 버섯 병원균 Armillaria mellea(Vahl:Fr.) Kummer : 활엽수 및 침엽수 A. ostoyae(Romagnesi) Herink : 주로 침엽수 방제 1. 자실체 및…
-
벚나무 갈색무늬구멍병 (Shot Hole Desease of Flowering Cherry)
가. 피해 1) 5~6월부터 발생하여 장마가 지난 후 8~9월에 병세가 심해진다. 2) 수관 하부에서부터 발생하여 점차 위쪽으로 번진다. 3) 처음에는 작은 자갈색 반점이 생기며 점차 커지면서 1~5mm정도되는 둥근 갈색 반점으로 진전된다. 4) 병반이 떨어져 나가면 구멍이 생기며 여러개의 반점이 뭉치는 경우에는 불규칙한 모양으로 구멍이 뚤린다. 5) 원인 : 수세가 불량하거나 봄철에 바람에 의한 스크레치와 비가…
-
리기다 푸자리움 송진가지마름병(Pine Pitch Canker)
가. 피해 1) 잎이 갈변하며, 송진이 흘러나와 잎과 가지가 마름. 주로 1년생 가지와 잎에 발생함. 2) 심할때는 수피와 솔방울에서도 송진이 분비 됨. 3) 발생시기 : 6~8월 경 1~2년생 가지의 엽흔에서 발병 4) 병원균 : Gibberella circinata 나. 처방 1) 3월~4월 중순과 9~10월에 테부코나졸 유탁제(Tebuconazole EW) 원액을 흉고직경 10cm당 5ml를 수간주사한다. 2) 새순이 나올 시기부터 초가을에…
-
-
-
말채나무 가지마름병 caused by phomopsis macrospora. ver. 0.1
** 확진은 아니나 가장 가능성이 높음 2013년 6월~ 7월 현재 동정 1. 흰말채나무 (Cornus alba L.) 줄기(stem)와 작은가지(twig)에 죽은 꽃눈(동해피해, 그 외 물리적인 상처 등)에 포몹시스균이 침입하여 발생. 2. 줄기에 궤양증상이 생기며 가지가 쳐지며 시들음. dieback 현상도 같이 일어남. 3. 탄저병에 의해서도 가지에 유사한 증세가 나타날 수 있음. 현재까지의 방제방법 1. 발견 즉시 제거하는 것이…
-